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8

한효주-이승기를 찾아라(야휴맵 API 응용) 지도에 나타난 마크에 마우스를 갖다대면 누가 나타날까요? ^^ 유명인이 아니더라도 지인들이나 보호가 필요한 아이들의 휴대폰 위치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면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겠네요. 지도에서 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안심이 되고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2009. 9. 1.
매쉬업 사이트 만들기 1. 지도 API 2. 여행 API 3. 맛집,영화,축제 API 4. 책 정보 API 5. 보험/금융 상품 API 6. 뉴스 API 7. 블로그 / 카페 검색 API 8. 지식인 9. 날씨 지도 + 여행정보 + 맛집,축제 + 책 + 보험 네이버 [지도 API] 구글맵 네이버지도 야후 거기지도 [이미지] Flickr [동영상] [책] 알라딘 다음 [검색] 다음 네이버 [여행] 다음 2009. 8. 28.
한 편의 공상과학소설 - 웹2.0 경제학(김국현) "웹2.0은 개방, 공유, 참여를 슬로건으로 해서 웹의 변화를 말하는데, 이전의 단 방향이 아닌 쌍방향 프로세스로 서로 소통하는 것이지..." "그래서, 웹2.0이 뭔데? 뭐가 달라지는데...?" "그럼, 아래의 질문에 답해봐...." [초급] ● 무언가 궁금할 때 친구에게 묻거나 책을 찾는 것보다 지식 검색을 하는 것이 편하다. ● 쇼핑에서 사고 싶었던 물건을 집에 와서 가격 비교하고 구매한다. ● 신문을 마지막으로 사서 본 것이 언제인지 기억나지 않는다. ● CD를 마지막으로 산 것이 언제인지 기억나지 않는다. 심지어 CD 플레이어나 오디오도 없다. [중급] ● 지식 검색에서 답을 해본 적이 있다. ● 즐겨 찾는 블로그가 있다. ● 얼굴을 본 적은 없지만 웹에서 친숙한 누군가가 있다. ● 북마크를 웹.. 2009. 8. 28.
음원공유의 방법이 있었구만... 예전에 음원공유 방안에 대해서 포스팅을 한 적이 있는데, 그게 바로 포드캐스팅 이었다. 난 그것도 모르고 구글 애드센스와 같은 방식을 생각하고 있었구만....역시, 사람은 공부를 해야하나 보다. 하지만, 음원 공유에 대해 내가 생각했었던 것과 포드캐스팅이 그렇게 다르지 않아서 사실은 깜짝 놀라기도 하고 흥미가 커졌다. 웹 2.0의 기술들은 정말 개방, 공유, 참여의 정신을 제대로 발휘를 하는 것이다. 포드캐스팅은 팟캐스팅(Podcasting)은 인터넷을 통하여 시청하려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팟캐스트을 선택하여 정기적 혹은 새로운 내용이 올라올 때마다 자동으로 구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송을 전달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주로 MP3와 같은 미디어 파일을 웹에 올리고 RSS 파일의 주소를 공개하는 방식으로 배.. 2009. 8. 27.
의미별로 끊어서 읽기. -의사블로그 실전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의미단위가 나누어지는 표시가 되있는 책을 사는 것도 한 방법이지만 결국은 스스로의 연습이 쌓여서 스스로 끊어 읽는 기술이 생겨야 합니다. 제가 추천 드린 영어책 읽기 계속하시기 바라고 테이프를 들으면서 원어민 성우가 끊어 읽고, 호흡을 어떻게 가져가는지 잘 파악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실제 눈으로 읽기를 하실 때 단어를 몇 개씩 묶어서 눈으로 읽는 연습을 하면 좋습니다. 2009. 8. 14.
검도와 수영의 비교 비교대상이 이상한가? 검도와 수영의 장단점을 비교해 보자.. 검도 힘들지만 일종의 대면해서 격투를 하는 거라 재미가 있다. 수영 힘들기 보다는 지루하지만 몸이 좋아진다. 2009. 8. 14.
미용실에서 머리 어떻게 해 달라고 하세요? 참 어렵죠? 2009. 8. 14.
영어, 의사에게 처방받기(문장 늘리기) [오늘의 문장] Trash generated by units should be taken directly to and placed in the trash chutes or physically brought to the basement trash compacting area. [해석] 각 세대에 만들어지는 쓰레기는 직접 쓰레기 투하통까지 가져와서 집어 넣던지 아니면 직접 지하의 쓰레기 압축장에 갖다 주셔야 합니다. ▼ Trash generated by units should be taken directly to (the trash chutes) and (trash generated by units should be) placed in the trash chutes or (trash generated by .. 2009. 8. 14.
웹 2.0은 빛 좋은 개살구인가?(프롤로그) "웹 2.0으로 돈을 벌 수 있을까요?" "웹 2.0? 그거 빛 좋은 개살구야. 누가 그걸로 돈 벌었단 얘기 들어봤냐? 허상일 뿐이야...그냥 하던 일이나 열심히 해. 네가 아직 고생을 안 해봐서...쯥쯥즙..." 한때 웹쇼핑몰을 같이 개발했던 고참과의 통화내용이다. IT에 대해 전문지식도 있고 수 많은 SI로 잔뼈가 굵은 선배의 말이라 좀 의아했다. 나는 개방, 공유, 참여가 가능한 블로그 서비스와 초고속으로 편리하게 커뮤니티를 형성하게 해주는 트위터(http://www.twitter.com/ ) 그리고 다양한 콘텐츠의 UCC로 대표되는 웹 2.0이 뭔가 좋은 수익 모델이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트위터 화면, 오른쪽에 김연아의 트위터를 팔로우 하고 있다.] 인터넷 초창기 때는 .. 2009. 8. 12.
마이크로 블로그가 한국에서 성공할까? 김연아가 트위터를 한다는 소식에 트윗터는 엄청난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솔직히 이런 사이트가 뜬다고 하니 좀 당황스럽기도 하다. 개인 홈페이지가 유행하고 있을 때 블로그 서비스가 나왔었는데, 난 별 차이를 못 느껴서 관심을 두지 않았는데, 이제는 거의 모두 홈피는 사라지고 블로그가 대세가 되었고 웹2.0의 첨병역할을 하고 있다. 트윗터도 그렇게 되지 않을까하고 생각하고 있다. 모바일을 통한 트윗터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장점때문에 한 차례 회오리 바람이 불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면 나는 트윗터에서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상상력을 키워보자. 마이크로 블로그의 수익모델은 무엇일까? 2009. 8.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