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8

기상천외한 헨리슈거 이야기 눈을 가리고 사물을 보는 능력을 가진 인도인을 만난 헨리슈거는 자신도 그렇게 되고 싶어한다. 그래서 몇 년을 연습한끝에 마음으로 사물을 보는 독특한 능력을 가지게 된다. 헨리슈거는 이러한 능력을 카지노에서 써먹기로 하고 전세계의 도박장을 돌아다니며 엄청난 돈을 모으게 되고 이 돈으로 장학제단을 만들어 좋은일에 쓴다. 이 단편의 재미는, 인도인이 마음으로 보기가 아마 트릭정도로 생각이 들었지만 끝내는 수련으로 얻은 결과라는 것이 밝혀지는 과정과 헨리슈거가 그 능력을 가지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 그리고 카지노에서 엄청난 능력을 보여 돈을 버는 장면, 정체가 탄로나서 전혀 다른 사람으로 분장해서 위험을 모면하는 장면들이 꽤 흥미롭다 그의 글을 읽다보면 마치 내가 그 책의 주인공이 된 듯한 착가에 빠지게 된다... 2009. 7. 13.
로알드 달 인터뷰(How easy was it to write Matilda?) How easy was it to write Matilda? I got it wrong. I spent 6 or 8 or 9 months writing it, and when I'd finished, it wasn't right. I mean it just wasn't right. I hadn't backed up and I hadn't kept changing, because the character, the main character the little girl keeps changing at you all the time and I hadn't bothered to go back and re-write that for several chapters. So a year ago I started the.. 2009. 7. 7.
구상중인 것들 1.애플사의 분석 : 아이팟, 아이폰 등의 소형기기로의 전환이 가지는 의미 2.구글애드센스 분석을 통한 새로운 수익모델 구상 : 음원 서비스에 대한 사고의 전환, 한 번 구매후 언제 어디서나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방법 3.다이어트 일기 : 75 --> 70 과정, 에피소드 4.부자 경제학 : 부동산, 투자 마인드, 프로그램 Tip 2009. 7. 6.
로알드달 인터뷰(How do you keep the momentum going when you are writing a novel?) How do you keep the momentum going when you are writing a novel? One of the vital things for a writer who's writing a book, whick is a lengthy project and is going to take about a year, is how does he keep the momentum going. It was the same with a young person writing an essay. They have got to write 4 or 5 or 6 pages. But when you are writing it for a year, you go away and you have to come bac.. 2009. 7. 3.
노무현이 만난 링컨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을 닮게 되는가 보다. 이 책을 읽고나서 노무현과 링컨은 어딘가 모를 내면의 비슷함을 느낄 수 있었다. 물론, 노무현 대통령이 틈틈이 링컨관련 책을 읽고 또 매우 존경하는 인물이었기에 당신도 모르게 닮게 되었을 것이다. 비주류의 인생의 굴곡 많은 삶부터, 늘 놀림의 대상이 된 상고 출신 대통령, 불우한 환경에서의 굴하지 않고 일어서는 용기, 끊임없는 노력으로 일구어 낸 독학, 계속되는 낙선 하지만 당당한 자신감과 끝까지 지켜낸 소신과 원칙, 그리고 안타까운 죽음까지 너무나 닮았다. 노대통령 재임중에 야당 및 보수언론으로 부터 아마추어, 독재가, 폭군이란 비난까지 받았었다. 무소불위의 권력인 대통령이 저렇게 휘둘릴 수도 있구나, 예전 같았으면 권련기관을 이용해 무언의 압박 혹은 보복으로.. 2009. 7. 2.
What is your work routine? What is your work routine? My work routine is very simple and it's always been same for the last 45 years. The great thing, of course, is never to work too long at a stretch because after about 2hours you are not at your highest peak of concentration so you have to stop. Some writers choose certain times to work, others [choose] other times and it suits me to start rather late, I start at 10 o'c.. 2009. 7. 2.
굿바이 안경 시력은 반드시 회복된다. [잡담 한마디...] 중학교때 과학 선생님이 이런 말씀을 하셨다. "요즘 학생들은 TV를 많이 보고 오락실을 많이가서 눈이 나빠진다. 한번 나빠진 시력은 절대 회복되지 않는다. 왜냐면 눈의 세포가 죽기 때문이다." 이 말을 들었을 때가 막 안경을 쓰기 시작했을 때인데, 좌절감을 느끼고 시력회복에 대한 희망을 버렸었다. 선생님이 하신 말씀 치곤 너무나 무식하고 무책임한 말이었던것 같다. [책 이야기] 이 책의 저자는 자신의 나빠진 시력(0.3-->1.5)을 회복하는 과정과 경험을 바탕으로 책을 엮었다. 핵심은 시력에 대해서 잘 못 알고 있는상식을 바로 잡는데서 출발한다. 근시를 예를 들면 눈의 두께 조절이 잘 안되어서 멀리 있는 물체를 볼 때 상이 앞에 맺히게 되는 것이다. 그럼,.. 2009. 7. 2.
How did you get the idea for James and the Giant Peach? How did you get the idea for James and the Giant Peach? I had a kind of fascination with the thought that an apple...(there's a lot of apple trees around here, and fruit trees, and you can watch them in the throught the summer growing bigger and bigger from a tiny litte apple to bigger and bigger ones)... and it seemed to me an obvious thought, what would happen if it didn't stop growing? Why sh.. 2009. 7. 1.
소설같은 잡스이야기..[iCon 스티브 잡스] 애플과 매킨토시를 만든 천재 프로그래머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이 책을 통해 그는 비지니스맨이며, 창조적인 디자이너이며, 협상가란 걸 알게 되었다. 자서전은 아니지만 이 두명의 작가는 인터뷰와 각종 자료를 통해 스티브 잡스에 대해 아주 세세하게 굴곡 많았던 그의 인생을 그리고 있다. 애플을 창업하고 애플II와 매킨토시의 엄청난 성공으로 세계의 유명인사가 되었지만, 그의 독단과 실적저조로 자기가 창업한 회사에서 쫓겨나게 된다. 이후 넥트스라는 하드웨어 회사를 만들지만 역시 실패하고, 마지막으로 픽사를 인수하게 된다. 디즈니와의 공조로 토이스토리를 만들게 되고 엄청난 대박이 터지고 다시 화려하게 애플컴퓨터로 복귀한다. 그 뒤로 그의 인생은 탄탄대로 이다. 그간 잡스의 독단과 독재적인 성격이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2009. 6. 30.
한비야의 지도밖으로 행군하라.... 참 대단한 사람이다. 오지여행가에서 긴급구호팀장으로 세계를 누리며 세상의 아픈곳을 치유하고 희망을 주고 다니는 천사라고나 해야겠다. 그녀가 생각하는 긴급 구호대책은 빵이나 물고기를 주는게 아니라(물론, 이것도 필요하지만) 빵을 굽는 방법과 물고기를 잡는 방법을 알려줘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만성적인 기근과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거다. 또 하나는 거대 이익을 노리는 집단의 이기주의로 피해를 입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는 거다. 이를 두고 한쪽에선 누군가가 수도꼭지를 무지막지하게 털어놓고 다른 한쪽에서는 그 물을 닦기 위해 걸레질을 하고 있다고 표현하고있다. 즉, 완벽한 해결을 위해서는 국제사회가 그 수도꼭지를 잠그는 일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긴급구호라는게 힘든게 아니라 작은 실천과 관심이.. 2009. 6. 30.